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오기 위해 부여한 이름으로 JVM Runtime Data Area 중 Stack Area에 저장 되는 것으로 언제나 변경 가능 합니다.
1-1. 변수 선언
1. 방법 : 자료형 변수명
char ch;
int num;
double doubleNum;
String str;
2. 변수 이름 짓기 규칙 - 영문 대소문자 한글 사용 가능 - 특수 문자는 밑줄(_), 달러($) 표기만 가능 - 아리비아 숫자 가능, 단 첫문자는 숫자 불가 - 자바에서 사용 하는 예약어 불가
일반적으로 Camel Case(카멜 표기법)을 사용 하며 상수는 대문자 사용 하여 표시 한다.
2. 자료형 ( Data Type )
데이터를 메모리 공간에 저장 하는 목적에 따라 크기와 특징을 구분 해야 하는데 이것이 자료형이라 합니다.
2-1. 자료형 종류
1. 기본 자료형 ( Primitive Type ) - 부울대수 ( Boolean Type ) : boolean - 숫자 ( Numeric Type ) - 안전한 ( Integral Type ) - 정수형 ( Integer Type ) : byte, short, int, long - 실수형 ( Floating Type ) : float, double - 문자 ( Character Type ) : char 2. 참조 자료형 ( Reference Type ) - 배열 ( Array Type ) - Enum Type - Class Type - String Class - Wrapper Class …
3. 변수 사용 하기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변수 선언과 값 대입 분리
int num; // 정수형 변수 num 선언
num = 3; // 정수형 변수 num에 3 저장
// 변수 선언과 값 대입 동시
int initNum = 3; // 정수형 변수 initNum을 선언하고 값 3을 저장
System.out.println(String.format("정수 num=%s, initNum=%s", num, initNum));
// 결과 : 정수 num=3, initNum=3
double doubleNum ; // double 형 변수를 선언
doubleNum = 7.2; // 7.2를 변수 doubleNum에 저장
System.out.println(String.format("실수 doubleNum=%f", doubleNum));
// 결과 : 실수 doubleNum=7.200000
String str = "자바 안녕"; // 문자열 변수 str를 선언 하고 자바 안녕을 저장 한다,
System.out.println(String.format("문자열 str=%s", str));
// 문자열 str=자바 안녕
}